경쟁 (생물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쟁은 생물학에서 같은 종 또는 다른 종 간의 개체들이 자원을 얻기 위해 겪는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경쟁은 종내 경쟁과 종간 경쟁으로 나뉘며, 개체군 역학, 개체군 크기 변화, 종의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 경쟁의 형태에는 간섭 경쟁, 착취 경쟁, 겉보기 경쟁이 있으며, 경쟁의 크기는 대칭적, 크기 대칭적, 크기 비대칭적일 수 있다. 경쟁은 r/K 선택 이론과 경쟁 배타 원리, 형질 치환과 관련이 있으며,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을 통해 수학적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쟁 - 궁술
궁술은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화살을 쏘는 기술로, 수렵과 전쟁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발전했고 한국에서는 전통 무예이자 스포츠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경쟁 - 자연선택
자연선택은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겨 유전형질이 다음 세대에 더 많이 전달되는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개체변이, 유전, 환경에 따른 생존 및 번식률 차이 등의 조건과 다양한 유형 및 수준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 생태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태학 - 먹이 그물
먹이 그물은 생태계 내 생물 간의 복잡한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생태학자들은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에너지와 영양소 흐름을 추적하며, 먹이사슬과 영양 단계, 생태 피라미드 개념과 관련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생물학 - 생명
생명은 환경 속에서 자기 유지, 증진, 강화를 하는 특징으로 정의되나 논쟁적이며, 항상성 유지, 세포 구조,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 반응, 생식 능력을 포함하고, 자기 복제와 진화로 유지되는 열린 열역학계로 설명되며, 기원은 약 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진화와 멸종이 공존하며, 바이러스, 외계 생명체, 인공 생명 연구가 진행 중이다.
경쟁 (생물학) | |
---|---|
개요 | |
정의 | 생물학적 상호작용으로, 한 개체의 적합성이 다른 개체의 존재로 인해 감소하는 현상이다. |
설명 | 자원 경쟁의 한 형태이며, 생태학적 및 진화적 힘으로 작용한다. |
로마자 표기 | gyeongjaeng |
유형 | |
간섭 경쟁 | 개체가 자원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발생하는 경쟁. |
착취 경쟁 | 자원을 소비하여 다른 개체가 이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쟁. |
겉보기 경쟁 | 두 종이 공통의 포식자를 공유할 때 발생하며, 한 종의 증가는 포식자 개체수를 증가시켜 다른 종에 대한 포식 압력을 높인다. |
자원 | |
예시 | 햇빛 물 영양분 공간 먹이 |
중요성 | |
생태학적 역할 | 군집 구조, 종 분포, 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 |
진화적 역할 | 자연 선택의 주요 동인 중 하나이며, 적응과 종 분화를 유발한다. |
관련 개념 | |
경쟁 배타 원리 |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가진 두 종은 공존할 수 없으며,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종이 다른 종을 몰아낸다는 원리. |
생태적 지위 | 종이 생태계 내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위치. |
공진화 | 종 간의 상호작용이 서로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
예시 | |
식물 | 숲에서 키가 큰 나무가 햇빛을 독점하여 작은 식물이 생존하는 것을 방해한다. |
동물 | 사자와 하이에나가 먹이를 놓고 경쟁한다. |
미생물 | 박테리아가 영양분을 놓고 경쟁한다. |
2. 경쟁의 종류
경쟁은 크게 종내 경쟁과 종간 경쟁으로 나눌 수 있다.
- '''종내 경쟁'''은 같은 종의 개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경쟁이다. 진화를 이끄는 주요 원동력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같은 종의 개체들이 동일한 환경, 먹이, 배우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컷 사슴들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25]
- '''종간 경쟁'''은 서로 다른 종의 개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경쟁이다. 사자와 하이에나는 먹이를 두고 경쟁하며, 붕어와 구피는 서식지를 두고 경쟁한다. 미국의 다람쥐, 차가운 해역의 성게와 다시마, 식물, 산호초의 산호 등도 종간 경쟁의 예시이다.[26][27]
2. 1. 종내 경쟁
종내 경쟁(種内競争)이란 같은 종이나 개체군에 속하는 개체들끼리 서로 경쟁하는 것을 말한다. 생물의 진화를 가장 크게 추동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종간 경쟁보다 종내 경쟁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같은 종의 개체들이 같은 환경, 같은 먹이, 같은 배우자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밀접한 경쟁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25] 가장 이해하기 쉬운 종내 경쟁의 예로 배우자를 얻기 위한 경쟁인 성선택이 있다. 그 외 중요한 종내 경쟁으로는 “진화적인 갈등”이 있다. 이것은 언뜻 보면 이익이 일치할 것 같은 개체 간의 적응상 이익의 갈등에 기초한 경쟁으로, 부모-자식 간, 형제자매 간, 부부 간, 친족 간 또는 게놈 간에 갈등이 존재한다.
간단한 예로, 모두 같은 나이의 식물들이 고르게 분포된 군락이 있다. 식물의 밀도가 높을수록 단위 지표면적당 더 많은 식물이 존재하고, 빛, 물 또는 영양분과 같은 자원을 놓고 경쟁이 더 치열해진다.
2. 2. 종간 경쟁
종간 경쟁은 서로 다른 종의 개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경쟁을 의미한다. 이는 먹이, 서식지, 빛과 같이 제한된 자원을 둘러싸고 발생하며, 생태계 군집 구조와 생물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26]일반적으로 경쟁 관계에 있는 종들은 공통된 자원, 즉 니치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지역에 서식하며 같은 먹이를 먹는 두 종류의 동물이 있을 때, 먹이의 양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이 먹이를 많이 먹으면 다른 쪽은 먹이가 부족해져 개체 수가 감소한다. 이 경우 두 동물은 먹이를 두고 경쟁 관계에 있으며, 개체 수가 줄어드는 쪽이 경쟁에서 지는 것이다.[27]
경쟁의 대상이 되는 자원은 생물에 따라 다양하다. 먹이뿐만 아니라 은신처, 세력권의 위치 등 서식하는 땅도 경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혈연 관계가 가까운 생물은 생활에 필요한 요구 조건이 비슷하기 때문에 주요 경쟁자가 될 수 있다.
실제 경쟁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는 한마디로 단정 지을 수 없다. 사자와 하이에나처럼 직접 먹이를 두고 싸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간접적인 형태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도시 지역에서는 붕어가 구피에 의해 대체되는 경우가 많지만, 구피가 붕어를 잡아먹거나 공격하는 것은 아니다.
한쪽이 다른 쪽을 공격하여 쫓아내는 경우도 있지만, 공격적인 행동이 오히려 불리할 수도 있다. 공격에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이다.
interspecific competition영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사자와 하이에나: 비슷한 먹이를 먹기 때문에 서로의 존재로 인해 먹이가 줄어들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 붕어와 구피: 도시 지역에서 서식지가 겹치며, 붕어가 구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 미국의 다람쥐: 지상성 다람쥐는 초원을 점유하는 경향이 있지만, 숲에서는 수상성 다람쥐가 더 우세하다.
- 차가운 해역의 성게와 다시마: 성게는 다시마를 먹고, 다시마는 어린 성게의 정착을 방해하여 서로 경쟁 관계에 있다.
-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얻기 위해 경쟁하며, 타감작용을 통해 경쟁자를 억제하기도 한다.
- 산호초의 산호: 공생 조류로부터 얻는 광합성 산물을 두고 경쟁한다.
3. 경쟁의 형태
경쟁은 자원을 차지하기 위한 직접적인 상호작용 여부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경쟁 관계에 있는 종은 공통의 자원과 니치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같은 지역에 서식하고 같은 먹이를 구하는 두 종의 동물이 있을 때, 먹이의 양은 유한하므로 한쪽이 더 많은 먹이를 섭취하면 다른 쪽은 먹이가 부족해져 개체 수가 감소한다. 이처럼 경쟁의 대상이 되는 자원은 생물과 생태계에 따라 다양하며, 먹이뿐만 아니라 은신처나 세력권의 장소 등 서식하는 땅도 그 대상이 된다. 혈연 관계가 가까운 생물은 서로 생활상의 요구도 비슷한 경우가 많으므로, 중요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
실제 경쟁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는지는 단정 지을 수 없다. 같은 먹이를 구하는 종이라고 해서 실제로 어떤 먹잇감을 놓고 싸우는 것은 아니다. 사자와 하이에나처럼 직접적인 경쟁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훨씬 간접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붕어와 구피는 매우 비슷한 물고기로, 도시 지역에서는 대개 붕어가 구피에 의해 대체되고 있지만, 구피가 붕어를 공격하는 것은 아니다.
한쪽이 다른 쪽을 공격하여 몰아내는 예도 있지만, 공격적이라고 해서 반드시 이기는 것은 아니다. 공격적인 행동을 취하는 종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오히려 불리할 수도 있다. 미국의 다람쥐에서 볼 수 있는 예로, 지상성이고 공격적인 다람쥐와 수상성이고 약한 다람쥐의 조합에서 초원은 지상성 종이 점유하는 경향이 있지만, 숲에서는 수상성 다람쥐가 지상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매번 공격을 한다면 버틸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식물의 경우, 대부분이 광합성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즉, 그 지역의 모든 식물은 서로 경쟁 관계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광합성에 필요한 물, 이산화탄소는 경쟁의 대상이 되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빛에 대한 경쟁이 보인다. 육상생태계에서는, 더 높은 곳으로 가지를 뻗어, 상대보다 높은 위치에 나온 것이 우세해진다. 하지만, 나무처럼 커지려면, 줄기에 투자해야 하며,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초기에는 초본이 우점하고, 차차 목본으로 대체되는, 소위 천이가 보이게 된다.
선태식물이나 지의류처럼, 키가 낮고, 기질에 밀착하는 것에서는, 빛에 대한 경쟁은, 덮어씌우기보다, 오히려 평면상에서의 영역 다툼의 형태를 취한다. 경쟁자에게 이기기 위한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상대를 공격하는 식물도 있다. 그 중 하나가 타감작용으로,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예를 들어 자신의 주변에서 다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등의 예가 있다.
산호초의 산호에도, 타감작용과 유사한 종간 경쟁이 보인다.
양쪽이 공통의 자원을 요구하지 않는데도 환경을 배경으로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예도 있다. 예를 들어 차가운 해역의 성게와 다시마가 경쟁 관계에 있다. 성게는 다시마를 먹으므로, 포식-피식 관계이다. 성게가 암반을 점유하면 다시마의 새싹은 곧바로 먹히기 때문에 성장할 수 없다. 성게가 들어갈 수 없도록 한 암반에는 다시마가 침입한다. 그런데 다시마가 잘 번성하면 이번에는 성게가 없어진다. 이것은 해조류가 파도에 흔들려 암석 위를 쓸어내리기 때문에 어린 성게의 정착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 두 종은 한쪽이 번성하면 다른 쪽의 생존이 방해되므로 경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동물의 경우, 각 종의 요구는 다르므로 경쟁 관계는 일대일의 종간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군집 생태학뿐만 아니라 개체군 간의 관계로서 개체군 생태학에서 다루는 경우도 있다.
종내 경쟁(種内競争)이란 같은 종이나 개체군에 속하는 개체들끼리 서로 경쟁하는 것을 말한다. 생물의 진화를 가장 크게 추동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종간 경쟁보다 종내 경쟁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같은 종의 개체들이 같은 환경, 같은 먹이, 같은 배우자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밀접한 경쟁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가장 이해하기 쉬운 종내 경쟁의 예로 배우자를 얻기 위한 경쟁인 성선택이 있다. 그 외 중요한 종내 경쟁으로는 “진화적인 갈등”이 있다. 이것은 언뜻 보면 이익이 일치할 것 같은 개체 간의 적응상 이익의 갈등에 기초한 경쟁으로, 부모-자식 간, 형제자매 간, 부부 간, 친족 간 또는 게놈 간에 갈등이 존재한다.
3. 1. 간섭 경쟁
간섭 경쟁(Interference competition)은 개체들이 희귀한 자원을 차지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경쟁 방식이다. 예를 들어, 큰 진딧물은 더 좋은 장소에서 작은 진딧물을 쫓아내어 미루나무 잎의 먹이 장소를 방어한다. 번식기 동안 붉은사슴 수컷 간의 경쟁은 종 내에서 발생하는 간섭 경쟁의 한 예이다.[5]
개체 간의 간섭 경쟁은 다른 개체의 먹이 섭취, 생존, 번식을 방해하거나 서식지의 일부에 대한 물리적 정착을 직접적으로 방해할 때 공격성을 통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개미 ''Novomessor cockerelli''는 작은 돌로 붉은 수확개미의 개미집 입구를 막아 먹이를 찾는 능력을 방해한다.[5] 짝을 유인하기 위해 '보우어'라고 불리는 정교한 구조물을 만드는 수컷 보우어새는 이웃의 구조물에서 장식을 훔쳐 직접적으로 이웃의 적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6]
동물에서 간섭 경쟁은 주로 서식지 내에서 더 크고 강한 유기체가 채택하는 전략이다. 따라서 간섭 경쟁이 심한 개체군은 성체 주도의 세대 주기를 가진다.[11] 처음에는 어린 개체의 성장이 더 큰 성체 경쟁자에 의해 저해되지만, 어린 개체가 성체에 도달하면 2차 성장 주기를 경험한다.[11] 반면에 식물은 주로 타감작용 또는 생화학 물질의 생산을 통해 이웃과 간섭 경쟁을 한다.[10]
간섭 경쟁은 명확한 비용(부상 또는 사망)과 이점(다른 유기체에게 돌아갔을 자원을 얻는 것)을 가진 전략으로 볼 수 있다.[7] 강한 간섭 경쟁에 대처하기 위해 다른 유기체는 종종 같은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착취 경쟁에 참여한다. 예를 들어, 계절에 따라 더 큰 굽이 있는 붉은사슴 수컷은 간섭 경쟁으로 인해 경쟁적으로 우위를 점한다. 그러나 암컷과 새끼는 시간적 자원 분할(성체 수컷이 없는 경우에만 먹이를 찾는 것)을 통해 이에 대처해 왔다.[8]
3. 2. 착취 경쟁
착취 경쟁(Exploitation competition) 또는 쟁탈 경쟁(scramble competition)은 여러 유기체가 공통된 제한 자원 또는 공유 식량을 이용할 때 간접적으로 발생한다. 자원을 얻기 위해 싸우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대신, 착취 경쟁은 한 유기체의 자원 사용이 다른 유기체가 이용할 수 있는 총량을 감소시킬 때 발생한다.[9] 이러한 유기체들은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자원 수준의 변화에 반응하여 경쟁한다.이러한 형태의 경쟁은 일반적으로 자원을 먼저 차지하는 유기체에게 유리하다. 따라서 착취 경쟁은 종종 크기 의존적이며, 작은 유기체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포식률을 가지므로 유리하다.[11] 작은 유기체가 생태계에서 착취 경쟁이 중요할 때 이점을 가지므로, 이러한 경쟁 메커니즘은 유년기 주도 세대 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개체 유년기가 성공하고 빠르게 성장하지만 일단 성숙하면 더 작은 유기체에게 경쟁에서 밀린다.[11]
이 현상의 매우 명확한 예로는 같은 자원을 공유하는 주행성 종과 야행성 종, 또는 빛, 영양분, 뿌리 성장 공간을 놓고 인접 식물과 경쟁하는 식물이 있다.[9][10]
식물에서 착취 경쟁은 지상부와 지하부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다. 지상부에서는 식물이 햇빛을 두고 경쟁하여 이웃 식물의 적합성을 감소시킨다. 식물은 질소를 흡수하여 뿌리에 흡수함으로써 인접 식물이 이용할 수 없게 만든다. 많은 뿌리를 생성하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토양 질소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켜 결국 인접 식물을 죽인다.
착취 경쟁은 종 내(종내)와 다른 종 간(종간) 모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기체 간의 많은 경쟁적 상호 작용은 착취 경쟁과 간섭 경쟁의 조합이며, 두 메커니즘이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019년 연구에 따르면, 토착 총채벌레 종인 ''Frankliniella intonsa''는 침입성 총채벌레 종인 ''Frankliniella occidentalis''보다 경쟁력이 우세한데, 이는 더 많은 시간 동안 먹이 활동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착취 경쟁) 자원을 보호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기 때문이다.[12] 식물 또한 두 가지 형태의 경쟁을 모두 보일 수 있으며, 뿌리 성장 공간을 놓고 경쟁할 뿐만 아니라 타감 작용을 통해 다른 식물의 발달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도 있다.
3. 3. 겉보기 경쟁
겉보기 경쟁은 서로 관련 없는 두 먹이 종이 공통 포식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생존을 위해 경쟁할 때 발생한다.[13] 이러한 형태의 경쟁은 일반적으로 각 먹이 종의 새로운 평형 개체 수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포식자 종 C에 의해 포식되는 두 종(종 A와 종 B)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과학자들은 종 A의 개체 수 증가와 종 B의 개체 수 감소를 관찰한다. 겉보기 경쟁 모델에서 이러한 관계는 포식자 C를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 A의 개체 수 폭발은 더 많은 총 먹이원으로 인해 포식자 종 C의 개체 수를 증가시킨다. 이제 포식자가 더 많아졌기 때문에 종 A와 B는 이전보다 더 높은 비율로 사냥될 것이다. 따라서 종 A의 성공은 자원을 놓고 경쟁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개체 수 증가가 포식자 개체군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종 B에게 해가 되었다.이러한 하나의 포식자/두 개의 먹이 모델은 1925년 초부터 생태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지만, "겉보기 경쟁"이라는 용어는 1977년 플로리다 대학교의 생태학자 로버트 D. 홀트(Robert D. Holt)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13][14] 홀트는 당시 현장 생태학자들이 먹이 종 간의 부정적인 상호 작용을 잘못 해석하여 서식지 분할과 경쟁 배타로 돌리고, 먹이가 제한된 포식자의 역할을 무시하고 있음을 발견했다.[13]
겉보기 경쟁은 종의 실현된 생태적 지위(realized niche), 즉 종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종이 실제로 지속될 수 있는 영역이나 자원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실현된 생태적 지위에 대한 영향은, 특히 전통적인 간섭 경쟁이나 착취 경쟁이 없는 경우에 매우 강할 수 있다. 실제 사례는 1960년대 후반에 연구되었는데, 뉴펀들랜드에 눈덧신토끼(*Lepus americanus*)가 도입되면서 토착 북극토끼(*Lepus arcticus*)의 서식 범위가 감소한 사례이다. 일부 생태학자들은 이것이 생태적 지위의 중첩 때문이라고 가정했지만, 다른 생태학자들은 눈신토끼 개체군이 먹이가 제한된 캐나다스라소니 개체군의 폭발적인 증가를 초래했다는 것이 더 그럴듯한 메커니즘이라고 주장했다. 캐나다스라소니는 두 먹이 종 모두의 공통 포식자이다. 북극토끼는 눈신토끼보다 방어 전략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차별적인 포식으로 인해 삼림 지역에서 밀려났다. 그러나 겉보기 경쟁과 착취 경쟁 모두 어느 정도 상황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3] 동위원소 및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시스템에서, 육식동물[15]과 소형 포유류[16]를 포함하여 식단과 관련된 실현된 생태적 지위의 폭에 대한 경쟁의 영향을 지지하는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겉보기 경쟁은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일 수 있다.[17] 대칭적 겉보기 경쟁은 두 종 모두에 동등하게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두 종 모두 생존할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비대칭적 겉보기 경쟁은 한 종이 다른 종보다 영향을 덜 받을 때 발생한다. 비대칭적 겉보기 경쟁의 가장 극단적인 시나리오는 포식자 증가에 의해 한 종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로, 이는 일종의 편해(0,-)로 볼 수 있다.[18] 멸종 위기에 처한 먹이 종에 대한 인간의 영향은 보전 과학자들에 의해 비대칭적 겉보기 경쟁의 극단적인 형태로 특징지어졌는데, 종종 외래종 포식자를 생태계에 도입하거나 자원 보조를 통해 발생한다. 도시 중심부 근처에서 종종 발생하는 완전한 비대칭적 겉보기 경쟁의 예로는 쓰레기 또는 폐기물 형태의 인간 보조가 있다. 2000년대 초, 인간의 쓰레기 유입으로 인해 모하비 사막의 큰까마귀(''Corvus corax'') 개체 수가 증가하여, 어린 사막거북(''Gopherus agassizii'')에 간접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19] 겉보기 경쟁의 비대칭성은 자원 경쟁의 결과로도 발생할 수 있다. 경험적 예는 캐나다 서부의 빙하기 이후 호수에 서식하는 두 종의 작은 물고기에서 찾을 수 있다. 가시망둑어와 세줄가시고기 사이의 자원 경쟁은 주로 세줄가시고기에서 공간적 틈새 이동을 초래한다.[20] 이러한 이동의 결과로, 두 종이 함께 서식하는 호수에서는 송어 포식자에 의한 포식이 세줄가시고기는 증가하고 가시 망둑어는 감소하는 반면, 각 종이 송어 포식자와 함께 단독으로 서식하는 호수와 비교했을 때 그렇다. 공유 포식자는 종종 공유 먹이 자원에 대한 경쟁과 함께 발생하기 때문에 겉보기 경쟁과 자원 경쟁은 자연에서 종종 상호 작용할 수 있다.[21]
4. 경쟁의 크기 비대칭성
경쟁은 완전 대칭적(모든 개체가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양의 자원을 받는 경우), 완전 크기 대칭적(모든 개체가 단위 생체량당 동일한 양의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 또는 절대적으로 크기 비대칭적(가장 큰 개체가 이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식물의 경우 크기 비대칭성은 상황에 따라 다르며, 가장 제한적인 자원에 따라 경쟁이 비대칭적이거나 대칭적일 수 있다. 삼림지대에서 영양분과 물에 대한 지하 경쟁은 크기 대칭적이다. 왜냐하면 나무의 뿌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나무 전체의 생체량에 비례하기 때문이다.[22] 반대로, 빛에 대한 지상 경쟁은 크기 비대칭적이다. 빛에는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삼림 수관은 가장 큰 나무들이 완전히 지배한다. 이 나무들은 생체량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대부분의 자원을 이용하므로, 상호작용이 크기 비대칭이 된다.[23] 지상 또는 지하 자원 중 어느 것이 더 제한적인지에 따라 생태계의 구조와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너도밤나무림에서 빛에 대한 크기 비대칭 경쟁은 토양 자원에 대한 경쟁에 비해 성장을 예측하는 더 강력한 지표이다.[24]
5. 경쟁의 진화적 전략
진화론적 맥락에서 경쟁은 r/K 선택 이론의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특정 환경에서 성공을 증진시키는 형질의 선택과 관련이 있다. 이 이론은 생태학자 로버트 매카서와 E. O. 윌슨의 섬 생물 지리학 연구에서 유래되었다.[28]
r/K 선택 이론에서 선택적 압력은 진화를 두 가지 전형적인 방향, 즉 r-선택 또는 K-선택으로 이끄는 것으로 가설화된다.[29] 이 용어인 r과 K는 베르훌스트 방정식의 개체군 역학에서 보여지는 표준 생태학적 대수에서 유래되었다.[30]
:
여기서 ''r''은 개체군(''N'')의 증가율이고, ''K''는 해당 지역 환경의 수용력이다. 일반적으로 r-선택 종은 빈 지위를 이용하고, 각각 성체까지 생존할 확률이 비교적 낮은 많은 자손을 낳는다. 반대로 K-선택 종은 밀집된 지위에서 강력한 경쟁자이며, 각각 성체까지 생존할 확률이 비교적 높은 훨씬 적은 자손에게 더 많은 투자를 한다.[30]
6. 경쟁 배타 원리
1934년 게오르기 가우스는 종의 공존을 설명하기 위해 경쟁적 배타 원리(Gause principle)를 제안했다. 이는 같은 생태적 지위(니치)를 가진 종은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지위"라는 단어는 종의 생존과 번식을 위한 요구 사항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에는 먹이와 같은 자원과 온도 또는 pH와 같은 적절한 서식지 조건이 모두 포함된다. 가우스는 두 종이 동일한 지위(즉, 동일한 자원과 서식지를 필요로 함)를 가지고 있다면 정확히 같은 지역에 살려고 시도하고 정확히 같은 자원을 두고 경쟁할 것이라고 추론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더 나은 경쟁자인 종이 항상 그 지역에서 경쟁 종을 배제할 것이다. 따라서 종은 공존하기 위해 적어도 약간 다른 지위를 가져야 한다.[31][32]
2: 더 큰(빨간색) 종이 자원을 두고 경쟁한다.
3: 더 풍부한 자원을 위해 중간 부분에서 빨간색이 우세하다. 노란색은 새로운 생태적 지위에 적응하여 경쟁을 피한다.
특정 두 종이 여러 면에서 요구하는 자원이 공통될 경우, 이들을 같은 생태적 지위를 가진다고 한다. 엄밀히 같은 생태적 지위를 가진 두 종이 공존하는 것은 없다고 여겨지며, 이를 '''경쟁 배타 원리'''라고 한다. 또한, 비슷한 두 종이 공존하는 경우, 활동 영역을 나누거나, 다른 먹이를 먹는 등의 형태로 완전히 같은 생태적 지위가 아닌 상태가 있으며, 이를 '''서식 분화''' 또는 먹이 분화라고 한다. 과거에는 생물이 자발적으로 서식 분화를 한다는 설도 있었지만, 현재는 각 종이 경쟁을 거쳐 다른 니치에 적응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7. 성질 치환
경쟁은 종들이 형질에서 차이를 진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경쟁 종과 유사한 형질을 가진 종의 개체들은 항상 강한 종간 경쟁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체들은 경쟁자와 다른 형질을 가진 개체들보다 번식과 생존율이 낮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미래 세대에 많은 자손을 남기지 못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윈의 핀치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단독으로 또는 함께 서식한다. 두 종의 개체군 모두 다른 종이 없는 섬에 서식할 때 중간 크기의 부리를 가진 개체가 더 많다. 그러나 두 종이 같은 섬에 서식하는 경우, 두 종 모두 중간 크기의 부리를 가진 개체들 사이에서 경쟁이 치열해진다. 왜냐하면 모두 중간 크기의 씨앗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작고 큰 부리를 가진 개체들은 중간 크기의 부리를 가진 개체들보다 이러한 섬에서 생존과 번식률이 더 높다. 서로 다른 핀치 종들은 특정한 자원에 특화될 수 있는 형질(예: 부리 크기)을 가지고 있다면 공존할 수 있다. ''Geospiza fortis''와 ''Geospiza fuliginosa''가 같은 섬에 서식하는 경우, ''G. fuliginosa''는 작은 부리를, ''G. fortis''는 큰 부리를 진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경쟁 종의 형질이 경쟁 종이 다른 지역에 서식할 때보다 같은 지역에 서식할 때 더 다르다는 관찰 결과를 성질 치환이라고 한다.[33]
성질 치환에 대한 연구는 자연에서 경쟁이 생태적 및 진화적 패턴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하다.[33]
8. 경쟁의 이론적 연구
생태학에서 경쟁 관계는 '''종간 관계'''의 한 유형으로, 두 종의 생물이 서로의 존재로 인해 불이익을 받는 경우를 말한다. 경쟁 관계에 대한 고전적인 수학적 모델로는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이 있다. 이 방정식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수리생물학자 알프레드 제임스 로트카(Alfred James Lotka)가 1925년에, 이탈리아의 수학자 비토 볼테라(Vito Volterra)가 1926년에 서로 독립적으로 유도한 것으로, 로지스틱 방정식을 기반으로 한다.
두 종의 개체 수를 각각 N₁, N₂, 내적 증가율을 r₁, r₂, 환경 수용력을 K₁, K₂라고 할 때, 각 개체군 성장은 다음 미분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
:
여기서 α₁, α₂는 경쟁 계수로, 종간 경쟁에 의한 영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α₁은 종 2의 개체가 증가함으로써 종 1의 개체 수 증가가 얼마나 악영향을 받는지 나타낸다.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은 종내 경쟁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로지스틱 방정식에 종간 경쟁에 의한 영향(α₁N₂ 및 α₂N₁)을 추가한 것이다. 이 식은 개체끼리, 종끼리가 서로 직접 투쟁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생활 형편에 얼마나 압력을 가하고 있는지에 따라 서로의 개체 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모델화한다.
이 식을 기반으로 경쟁을 분석하면, 초기에는 r(내적 증가율)이 큰 종이 유리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K(환경 수용력)가 큰 종이 유리해진다. 또한, 초기 개체 수, 경쟁 계수, 환경 수용력 등이 경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게오르기 가우제는 두 종의 짚신벌레를 혼합 배양하는 실험을 통해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얻었다. 두 종 중 한 종만이 살아남았으며, 두 종이 공존한 경우는 한 종이 수조 바닥에, 다른 종이 위쪽에 서식하는, 이른바 서식 분화가 일어났을 때뿐이었다.
9. 한국 생태계와 경쟁
한국 생태계는 다양한 생물 종 간, 그리고 종 내 경쟁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역동적인 시스템이다. 특히 최근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토착종과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생태계 교란 및 생물 다양성 감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황소개구리, 배스, 블루길 등 외래종은 토착종의 서식지를 빼앗고 먹이를 독점하며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1]
참조
[1]
서적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Blackwell Science
[2]
웹사이트
Competition
https://globalchange[...]
2021-12-08
[3]
웹사이트
Species Interactions and Competition Learn Science at Scitable
https://www.nature.c[...]
2021-12-08
[4]
논문
Links between global taxonomic diversity, ecological diversity and the expansion of vertebrates on land
2010-08-23
[5]
논문
The Effects of Proximity and Colony Age on Interspecific Interference Competition between the Desert Ants Pogonomyrmex barbatus and Aphaenogaster cockerelli
https://bioone.org/j[...]
2002-10-01
[6]
논문
Bower Destruction and Sexual Competition in the Satin Bowerbird (Ptilonorhynchus violaceus)
https://www.jstor.or[...]
1985
[7]
논문
Interference Competition and Niche Theory
1974-08
[8]
논문
Intraspecific temporal resource partitioning at white-tailed deer feeding sites
https://doi.org/10.1[...]
2018-07-06
[9]
논문
Simple models for exploitative and interference competition
https://dx.doi.org/1[...]
1987-02-01
[10]
논문
Root competition: beyond resource depletion: Root competition: beyond resource depletion
2006-03-24
[11]
논문
Interference versus Exploitative Competition in the Regulation of Size-Structured Populations.
2014-11-01
[12]
논문
Interference and Exploitation Competition between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F. intonsa (Thysanoptera: Thripidae) in Laboratory Assays
2019-06-14
[13]
논문
Predation, apparent competition, and the structure of prey communities
https://dx.doi.org/1[...]
1977-10-01
[14]
논문
Holt (1977) and apparent competition
https://www.scienced[...]
2020-06-01
[15]
논문
Variable effects of wolves on niche breadth and density of intraguild competitors
2022
[16]
논문
Competitive release during fire succession influences ecological turnover in a small mammal community
2022
[17]
논문
Apparent Competition
https://www.annualre[...]
2017-11-02
[18]
논문
Enemy-Mediated Apparent Competition: Empirical Patterns and the Evidence
https://www.jstor.or[...]
2000
[19]
논문
Endangered, apparently: the role of apparent competition in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2010
[20]
논문
Species divergence under competition and shared predation
https://doi.org/10.1[...]
2023
[21]
논문
Species divergence under competition and shared predation
https://doi.org/10.1[...]
2023
[22]
논문
Problems with models assessing influences of tree size and inter-tree competitive processes on individual tree growth: a cautionary tale
2021-10-04
[23]
논문
Size-symmetric versus the size-asymmetric competition and growth partitioning among trees in forest stands along an ecological gradient in central Europe
https://cdnsciencepu[...]
2010-02-15
[24]
논문
Analyzing size-symmetric vs. size-asymmetric and intra- vs. inter-specific competition in beech (Fagus sylvatica L.) mixed stands
https://linkinghub.e[...]
2014-08-01
[25]
서적
Essentials of Ecology
Wiley
[26]
논문
Competition and intraguild predation among three sympatric carnivores
[27]
서적
The struggle for existence
Williams & Wilkins
[28]
서적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논문
On r and K selection
[30]
논문
Notice sur la loi que la population pursuit dans son accroissement
[31]
논문
The competitive exclusion principle
http://www.esf.edu/e[...]
2017-01-10
[32]
서적
Handbook of Evolutionary Thinking in the Sciences
Springer
[33]
논문
Character displacement
[34]
웹사이트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https://en.wikipedia[...]
Blackwell Sci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